반응형
1. 깃(Git) 설치 사이트에서 다운화면을 캡쳐하고, 깃을 설치한다.
그리고 깃 버전을 확인하여 캡처한다.
설치 사이트 다운 화면


깃 버전 확인

2. 깃을 통한 글로벌 사용자 등록을 하고, 등록된 화면을 확인 후 캡쳐한다.

3. 로컬(local) 리포지터리와 원격(remote) 리포지터리를 생성하여,
연결 및 push 작업 진행 및 화면 캡쳐를 한다.
ezen-pt라는 폴더를 생성하고, 로컬(local) 리포지토리 생성 및 화면


main branch에 README.md 파일, index.html 파일을 생성

add, commit 한 후, 결과 log 화면

ezen_pt라는 원격(remote) 리파지토리 생성 및 화면 (README.md와 .gitgnore 생성 안 함)

로컬 & 리모티 리파지토리 연결 화면

push가 완료된 후, 리모트 리파지토리 화면


깃헙 사이트에서 원격 리포지터리를 로컬로 복제 및 커밋 로그 정보 확인한다.


index.html 파일을 수정한 후 push 작업을 한다. (관련 화면 캡처)



반응형
'ETC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ymeleaf] 타임리프 설명 및 문법 정리 (0) | 2024.11.13 |
---|---|
[github] 백준/프로그래머스 깃허브 연동 (0) | 2024.07.28 |
[TISTORY/티스토리] 소스 코드 출력이 이상하고 오류날 때 - 코드 플러그인 설정 방법 (0) | 2024.01.07 |
[Visual Studio] 주석 처리 단축키 (+ 단축키 수정) (0) | 2018.04.19 |
[JAVA] 에디트플러스(EditPlus) JAVA 컴파일 실행 설정 (0)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