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해설 및 풀이 (Python)Study/코딩 테스트2025. 2. 17. 10:28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003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0)은 0을 출력하고, 0을 리턴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과 fibonacci(0)의 결과를 얻고, 1을 리턴한다.
-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의 결과를 얻고, 2를 리턴한다.
1은 2번 출력되고, 0은 1번 출력된다. N이 주어졌을 때,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문제 풀이
문제 유형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풀이 도출 과정
주어진 C++ 코드를 그대로 작성하면 중복 호출이 많아서 시간 복잡도가 높아지면서 백준에서 시간 초과로 제출을 성공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 중복 호출을 줄이기 위해 DP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 fibonacci(N)을 호출하면 0과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구해야 합니다.
- 중복 호출을 줄이기 위해 피보나치 수열을 DP로 구성합니다.
- dp[i]는 i번째 피보나치의 수를 저장하는 리스트입니다.
- 피보나치 수열 점화식 : dp[i] = dp[i-1] + dp[i-2]
따라서 dp[N-1]은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의 횟수를 출력하고,
dp[N]은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1의 횟수를 출력합니다.
시간 복잡도
O(N)
문제 풀이 핵심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테스트 케이스의 수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 int(input())
# dp 리스트 초기화
# dp[i] : i번째 피보나치 수 저장
dp = [0, 1] + [0] * (N - 1)
# 피보나치 수열 dp 계산
for i in range(2, N + 1):
dp[i] = dp[i - 1] + dp[i - 2]
# 0이 출력되는 횟수(fibonacci(N-1)), 1이 출력되는 횟수 (fibonacci(N))
print(dp[N - 1], dp[N])'Study > 코딩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11726번 2×n 타일링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19 |
|---|---|
| [백준] 2579번 계단 오르기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18 |
| [백준] 11723번 집합 해설 및 설명 (Python) (0) | 2025.02.15 |
| [백준] 1260번 : DFS와 BFS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14 |
| [백준] 9461번 : 파도반 수열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13 |
@Dev Chu :: Log_Double 7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