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준 1874번 스택 수열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문제 유형
자료구조
스택
풀이 방법 도출
- 1부터 n까지 오름차순으로 숫자를 push 할 수 있습니다.
- 주어진 수열의 숫자가 등장할 때까지 스택에 push 합니다.
- 원하는 숫자가 스택의 맨 위에 있을 경우, pop 연산을 수행합니다.
- 그렇지 않다면 해당 수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 NO를 출력하고 종료합니다.
시간 복잡도
- O(N)
문제 코드
import sys
# 입력값
n = int(sys.stdin.readline())
sequence = [int(sys.stdin.readline()) for _ in range(n)]
stack = [] # 스택
result = [] # 연산 결과
current = 1 # 스택에 push할 숫자
for num in sequence:
# 현재 숫자까지 push하여 스택에 넣습니다.
while current <= num:
stack.append(current) # push 연산
result.append('+')
current += 1 # 다음 숫자를 준비
# 스택의 최상단이 우리가 원하는 숫자인 경우 pop
if stack[-1] == num:
stack.pop()
result.append('-')
else:
# 수열을 만들 수 없는 경우
print("NO")
exit()
# 결과 출력
print('\n'.join(result))
반응형
'Study > 코딩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866번 요세푸스 문제 0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3.01 |
---|---|
[백준] 14940번 쉬운 최단거리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28 |
[백준] 6064번 카잉 달력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27 |
[백준] 9663번 N-Queen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27 |
[백준] 1541번 잃어버린 괄호 해설 및 풀이 (Python) (0) | 2025.02.25 |